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향오문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옥련정
벽화실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청와대 녹지원춘안당융문당
칠궁양정재수궁(구 관저터)융무당태화궁
지희실경농재(관풍루)대유헌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청와대 춘추관
마장관가문희맹공신단
금화문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금위군직소춘화문춘생문
신무문수문계무문광무문춘도문수문
태원전수문장청팔우정 집옥재 협길당각감청건청궁 관문각서녹산
남여고 육우정
직처소어구동녹산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선원전 경안당
종각가회정 보현당장고통화당순화궁 외소주방
순화궁 내소주방
영선문진전 소주방진전 생물방화락당나인처소
회안전문경전장고
숙설소
향원정
전기등소
만화당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대향당
정훈당
나인처소
함화당 집경당영훈당만경전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원역처소빈궁 수랏간다경합건복합
원역처소
제관방
흥복전중궁전
침방,수방
대왕대비전
침방,수방
제수합영보당벽월당(상궁처소)
하향정원역처소(접견소)장방(기무처)아미산자미당자경전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국별장직소함원전함홍각건순각원길헌인지당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벽하당(상궁처소)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경회루흠경각교태전임향당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계응당(상궁처소)
양의문복회당(대전 생물방)보월당(상궁처소)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무겸직소응지당강녕전연길당
북위장직소경성전연생전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수문파수각향오문
영추문수문장청내각(규장각)검서청(규장각)대전장방(내시부)습회당협오당장원당천추전사정전만춘전자선당비현각장방 삼처관리소
수문장청
건춘문
초관직소장무관직소입심억석(내의원)주원(사옹원)수정전사정문오상방원역처소세자궁 수랏간등촉방장방
훈국군번직소침의청(내의원)약방(내의원)내반원(내시부)수정문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ㅏ
통장청문기수청춘방별감방초관처소
서소위장직소의약청(내의원)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대전 수랏간영화문계조당계방훈국군번처소
누국당후(승정원)정원(승정원)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선전관청빈청숭양문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별군직청
춘방책고대청
주차장
상의원 면복각
영제교
신당덕응방북마랑흥례문
전사청국립고궁박물관
연고 내사복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용성문어도협생문계방
행각
오위도총부
우마랑좌마랑내구연지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서소부장청
남소위장청
동소부장청
동소위장청
견마배청남마랑군사방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충장장청
수장장청
서십자각수문광화문
(월대)
수문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경복궁 향오문
景福宮 嚮五門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1395년 (창건) / 1867년 (중건)

파일:향오문.png
향오문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1. 개요[편집]


경복궁 강녕전정문이다.


2. 이름[편집]


‘향오(嚮五)’ 뜻은 ‘오복(五福을) 향함(嚮)’이다. 《서경》 - 〈홍범〉 편에 나온 ‘향용오복(嚮用五福)’에서 따왔다.

‘향용오복(嚮用五福)’은 ‘다섯 가지 복을 권유하여 누린다’는 뜻이다. 저기서 말하는 오복은 ‘수(壽: 목숨)’, ‘부(富: 재물)’, ‘강녕(康寧: 건강 및 편안함)’, ‘유호덕(攸好德: 덕을 베풀기 좋아함)’, ‘고종명(考終命: 제 명에 편히 죽음)’이다. 즉, 임금이 오복을 편하게 누리며 백성들 역시 오복을 누릴 수 있게 좋은 정치를 하라는 의미이다.

강녕전 이름도 오복의 종류 중 하나인 ‘강녕(康寧)’에서 따왔다.


3. 역사[편집]


1394년(태조 3년) 경복궁 창건 당시에 처음 지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탔고 270여 년 뒤인 1867년(고종 4년)에 중건하였다.

강녕전이 1876년(고종 13년)에 화재를 입어 1888년(고종 25년)에 재건되었는데 저 때 향오문도 강녕전과 같이 불탔다 다시 지어졌는지는 모른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에 불타 없어진 창덕궁 내전을 재건할 때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내전 건물을 자재로 쓰기 위해 강녕전, 교태전 일곽의 건물들을 해체, 이전하였다. 그러나 향오문과 강녕전 남행각은 무사했다.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4. 구조[편집]


  • 1층[1] 목조 건물이다. 칸 수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총 6칸이다. 기단은 장대석 1벌대로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계단도 따로 없다. 주춧돌기둥은 사각이다.

  • 지붕은 맞배지붕, 처마는 홑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를 두었다. 문짝과 측면의 은 붉은색 나무판이다. 문의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단청은 모로단청[2]으로 칠했다.

  • 이 다니는 가운데 칸의 넓이를 양 옆 칸보다 넓게 만들었다.

  • 각 칸의 인방 위에 풍혈을 뚫은 궁판을 올렸다. 좌, 우 칸에는 풍혈 8개가 뚫린 궁판을, 가운데 칸에는 풍혈 10개 뚫린 궁판 하나를 올렸다. 궁판들 위에 홍살을 놓았으며 가운데 칸 궁판에 현판을 걸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1]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2]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3 (이전 역사)